What is Docker?
1. Docker의 정의
컨테이너 기반의 오픈소스 가상화 플랫폼 도커(Docker)는 컨테이너를 사용하여 응용프로그램을 더 쉽게 만들고, 배포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설계된 도구입니다.
도커는 하이퍼바이저 위에서 동작하는데, 하이퍼바이저는 가상머신을 구동할 수 있게 해주는 소프트웨어 계층입니다. 도커는 이러한 하이퍼바이저 구조를 기반으로, 각 컨테이너 안에 서로 다른 실행 환경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도커 파일은 도커 이미지를 구성하기 위해 필요한 의존성, 소스코드 등을 기록한 명령 파일입니다. 이 도커 파일에 정의된 대로 도커 이미지가 생성됩니다.
반면 도커 이미지는 컨테이너 생성과 실행에 필요한 명령들의 집합체입니다. 많이 사용되는 이미지들은 공식 저장소에서 받아올 수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도커 파일은 이미지 만들기 위한 설정 파일이고, 도커 이미지는 컨테이너 실행에 필요한 실행 파일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도커 파일 기반으로 이미지가 만들어지고, 그 이미지를 바탕으로 컨테이너가 실행됩니다.
2. Docker의 사용 이유
도커(Docker)는 애플리케이션 배포와 관리를 획기적으로 간소화할 수 있는 컨테이너 기반 가상화 플랫폼입니다.
도커를 사용하면 개발환경과 운영환경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고, 애플리케이션을 컨테이너로 추상화하여 클라우드나 OS에서 독립적으로 배포 및 관리가 가능합니다. 또한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구축을 위한 이상적인 플랫폼이며, 리소스 격리, 확장성, 이식성 등을 대폭 향상할 수 있습니다.
요약하면 도커는 애플리케이션 배포와 관리 비용을 줄이고,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구축을 위한 필수 도구라고 할 수 있습니다.
3. Docker의 사용 장점
도커(Docker)를 사용하면 애플리케이션을 개발, 배포, 실행하는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이점들이 있습니다.
첫째, 개발 환경과 운영 환경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도커 이미지에 필요한 모든 라이브러리와 종속성을 포함하기 때문에 개발 환경과 똑같은 환경으로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할 수 있습니다.
둘째, 애플리케이션 포터빌리티가 높아집니다. OS나 하드웨어와 격리되어 있는 컨테이너로 애플리케이션을 패키징하기 때문에 클라우드 환경이나 다른 인프라로 쉽게 이동할 수 있습니다.
셋째, 리소스 활용도가 높아집니다. 컨테이너는 가볍고 실행이 빠르기 때문에 하드웨어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넷째,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구축이 용이합니다. 서비스별로 독립적인 컨테이너를 구축하여 느슨한 결합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다섯째, 지속적인 배포와 통합(CI/CD)이 수월합니다. 이미지 기반 빌드와 배포가 가능하여 개발 생산성이 향상됩니다.
4. Docker 사용으로 인한 개발 프로세스의 이점
도커(Docker)는 애플리케이션 개발 뿐 아니라 다음과 같은 다양한 용도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첫째, 데브옵스(DevOps) 도구 체인의 한 축을 담당합니다. CI/CD 파이프라인을 구축하는 데 있어 도커는 필수적인 구성 요소입니다.
둘째, 테스트 및 스테이징 환경을 손쉽게 구축할 수 있습니다. 도커로 가상화된 테스트 환경은 실제 프로덕션 환경과 유사하게 구성할 수 있습니다.
셋째,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있어서 도커는 사실상 표준 플랫폼 역할을 합니다.
넷째, 머신러닝 및 데이터 과학 개발 환경 세팅에 도커는 빠르고 일관된 환경 제공을 가능케 합니다.
다섯째,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구현 시 서비스 간 가볍고 유연한 결합을 지원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여섯째, 서버리스 아키텍처의 함수 실행 환경으로도 도커는 널리 쓰입니다.
5. Docker 사용과 보안의 관계성
첫째, 공식 도커 허브(Docker Hub)나 신뢰할 수 있는 개인 저장소의 이미지만 사용합니다. 이미지의 출처를 확인하고 직접 빌드하는 것이 좋습니다.
둘째, 컨테이너에 불필요한 권한이 개방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가능한 최소 권한의 원칙(Principle of Least Privilege)에 따라 접근을 제한합니다.
셋째, 도커 엔진, 레지스트리, 다른 컨테이너 간 통신은 반드시 TLS(Transport Layer Security)를 사용하도록 합니다.
넷째, 컨테이너 데이터는 별도 볼륨에 저장하고 호스트 시스템과 분리합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 유출 가능성을 낮춥니다.
다섯째, 컨테이너 이미지와 실행 중인 컨테이너에 대한 정기적인 취약점 검사를 실시합니다.
여섯째, 컨테이너 환경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보안 도구를 도입합니다.
일곱째, 리소스 접근 제어를 위해 RBAC, 네임스페이스 등을 구현합니다.
이 외에도 최신 보안 업데이트의 실시, 로깅 및 모니터링 강화 등을 통해 도커의 보안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FrontEnd'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deJS (0) | 2024.03.26 |
---|---|
In Clouser-with-javascript (1) | 2024.03.23 |
React-JS (0) | 2024.03.22 |
HTTP-Header (0) | 2024.03.22 |
Cross-Browsing (0) | 2024.03.21 |